년도
|
수상자
|
연구제목
|
1999 |
성균관의대 진동규
|
한국인에서의 부신성기증후군환자의 유전상과 임상상의 상호연관에 관한 연구
|
2000
|
연세의대 남수연
|
비만이 성장호르몬-성장호르몬수용체-인슐린양성장인자-I축에 미치는 영향
|
2001
|
경희의대 박승준
|
영양소의 결핍이 시상하부-뇌하수체-성장호르몬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|
서울의대 김민선
|
새로운 위장관 호르몬 ghrelin이 지방세포의 분화와 대사에 미치는 영향
|
2002
|
서울의대 박영주
|
FRTL-5 갑상선 세포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p66 Shc의 활성화와 이에 의한 세포 고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
|
전북의대 박지현
|
17-beta estradiol이 저산소증에 의한 조골세포의 Runx2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
|
경희의대 박철영
|
OLETF rat의 나이에 따른 adipokine의 지방세포에서의 발현 변화
|
2003
|
성균관의대 이원영
|
한국인 남성 및폐경 후 여성에서 PPAR-와 Calcium-Sensing Receptor 유전자다형성이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유전자형에 따른 골다공증 치료 효과 관찰 - 전향적 연구
|
인하의대 홍성빈
|
랄록시펜이 난소절제 흰쥐에서 골수기질 간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|
2004
|
울산의대 고정민
|
난소절제 동물에서 알파-리포익산의 골다공증 예방 효과
|
한림의대 오기원
|
Osteoprotegerin 유전자 다형성이 주폐경기 여성의 골대사와 대동맥 석회화에 미치는 영향
|
연세의대 안철우
|
그레이브스씨병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 회복이 혈청 아디포카인에 미치는 영향
|
연세의대 이유미
|
맥관형성 저해제가 골다공증 백서모델에서의 골대사 및 골강도에 미치는 영향
|
고려의대 최경묵
|
DNA 마이크로 어레이 기법을 이용한 갑상선 암의 유전자 발현양상
|
2005
|
울산의대 김태용
|
갑상선중독성 주기성 마비와 안드로젠 수용체 CAG 반복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
|
가톨릭의대 김명준
|
혈관평활근세포에서 고농도의 포도당에 의한 TSP-1 발현과 MMP-2 활성을 차단하는 epicatechin의 효과
|
가톨릭의대 권혁상
|
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HMG- CoA reductase inhibitor가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
|
성균관의대 임창훈
|
식물성 에스트로겐 유도체들의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
|
한림의대 이성진
|
Sertoli 세포의 aromatas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3 효과 분석
|
인제의대 노정현
|
다낭난소증후군에 대한 spironolactone과 rosiglitazone의 치료 효과 비교 |
건양의대 고관표
|
한국인 자가면역 갑상선질환에서 갑상선자가항체의 진단적 유용성
|
이화의대 오지영
|
한국인 여성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임상적 표현형의 규명
|
연세의대 김똘미
|
Peroxisome Proliferator-activated Receptor δ (PPARδ) 효현제의 뇌실 내 투여가 먹이 섭취 및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
|
울산의대 김은숙
|
병인성 자가항원 반응성 CD4+ T 세포억제에 의한 그레이브스병의 치료
|
2006년
|
연세의대 강은석
|
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로지글리타존에 의한 체중증가와 Perilipin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
|
연세의대 김철식
|
제 2형 당뇨병성 신증의 치료에 있어서 Retinoic Acid Receptor agonist의 효과
|
계명의대 박근규
|
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발생에 있어 알파-리포산이SREBP-1c 발현에 미치는 효과
|
가톨릭의대 백기현
|
난소 절제 백서에서 simvastatin의 비경구 투여가 골량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
|
서울대 손기훈
|
부신 말초 생체시계 유전자에 의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일주기 리듬의조절 기작에 관한 연구
|
한림의대 이병완
|
중증도 이상 화상환자에서의 호르몬 반응의 변화
|
가톨릭의대 이성수
|
단독 글루코 코르티코이드 결핍증 가계에서 발견된 Melanocortin 2 수용체(MC2R) 돌연변이의 기능 연구
|
가톨릭의대 이승환
|
Metabolically obese but normal weight (MONW)의phenotype을 가진 한국성인의 유전학적, 임상적 특징 분석
|
성균관의대 이은정
|
인체 조골세포에서 PPAR-γ 경로의 활성화가 arom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
|
서울의대 임수
|
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심장 주위 지방의, 복부 내장지방 및 새로운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성
|
2007년
|
경희의대 이상열
|
한국인 Carney complex 가계에서의 PRKAR1A 유전자 돌연변이의 분석
|
국립암센터 김정민
|
VEGF-D 발현과 갑상선 유두암의 예후와의 관련성
|
을지의대 조영석
|
갑상선 세포 암화 과정에서 마이크로 알엔에이(microRNA) 발현의 조절
|
서울의대 이유진
|
가령에 따른 갑상선의 자가면역성의 변화와 이에 미치는 산화스트레스의 영향 연구
|
연세의대 노태웅
|
간줄기세포에서 갑상선분화 전사유전자전달에 의한 갑상선세포신생
|
성균관의대 신현원
|
갑상선 수질암세포 증식과 칼시토닌 분비의 최적 자극제 및 억제제에 대한 탐색
|
연세의대 조민호
|
제1형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가계에서 발견된 새로운 MEN1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
|
2008년
|
울산의대 김원구
|
갑상선 암세포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or receptor-δ(PPAR- δ) 활성화에 따른 세포의 성장의 변화
|
메리놀병원 석지혜
|
치료받지 않은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폐 고혈압에 대한 연구
|
을지의대 조영석
|
갑상선암에서 BRAFV600E에 의한 metabolic remodeling
|
연세의대 남지선
|
당뇨병전기 환자에서 Pioglitazone이 산화스트레스 및 조기 동맥경화증에 미치는 영향
|
연세의대 박세은
|
제2형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은 환자에서 복부지방 분포와 새로운 아디포카인 omentin-1과의 연관성
|
연세의대 김주영
|
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환자에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위험인자 연구
|
서울의대 조화영
|
부신 종양 발생에서 Wnt 신호 전달 경로의 역할
|
서울의대 조선욱
|
골다공증 치료의 표적으로서 Kremen의 역할 규명 및 Kremen 항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골다공증의 치료
|
서울의대 김경원
|
갑상선호르몬과 Xenobiotic Nuclear Receptor CAR (Constitutive active/androstane receptor)가 간세포 증식에 미치는 상호 작용 및 역할
|
서울의대 김진택
|
뇌하수체 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안드로겐 수용체의 CAG repeat 유전자다형성과 남성호르몬 대체요법의 효과 및 부작용의 관계 규명
|
2009년
|
관동의대 박소영
|
Cannabinoid 수용체 작용제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
|
서울의대 안지현
|
조골세포를 표적으로 한 PPARγ유전자 과발현 마우스의 골 표현형 분석
|
울산의대 이승훈
|
폐경 골다공증의 매개인자로서의 LR-2 의작용에 대한 동물실험
|
가톨릭의대 임동준
|
갑상선암 세포주에서 FGF-19/FGFR-4이 하위 신호 전달에 미치는 영향
|
서울의대 정인경
|
환경호르몬 Bisphenol A가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
|
2010년
|
인제의대 원종철
|
Glucagon-like peptide (GLP)-1의 췌장 외 효과
|
가천의대 이시훈
|
특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의 분자 발병 원인 규명
|
연세의대 김은숙
|
커큐민 투여가 갑상선 암 진행에 미치는 영향
|
서울의대 윤지완
|
혈관 세포에서 GLP-1 과발현의 동맥경화 예방 효과
|
울산의대 김의영
|
AMPK-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가 갑상선암 세포 자연사에 미치는 영향
|
2012년
|
울산의대 김범준
|
골다공증 치료 기준 정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유용성 검증
|
2013년
|
국립중앙의료원 조선욱
|
암특이대식세포를 이용한 갑상선 역형성암의 치료 전략 개발
|
2014년
|
울산의대 전민지
|
Slit3가 갑상선암의 성장과 전이에 미치는 역할 (The Role of Slit3 in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Thyroid Cancer)
|
2015년
|
연세의대 이용호
|
Parathyroid hormone-related peptide가 체중감소 및 근감소증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규명 연구 (Effect of parathyroid hormone-related peptide on weight loss and sarcopenia in cancer patients and its underlying mechanism)
|
2016년
|
서울의대 김정희
|
전사체 분석을 통한 침습적 뇌하수체 종양 발병 기전 규명
(Elucidation of the pathogenesis of invasive pituitary tumors through transcriptome analysis)
|
2017년
|
서울의대 송영신
|
Identification of the molecular genetic mechanism of synergistic effects between BRAF/RAS and TERT promoter mutations on poor prognosis in thyroid cancer
|
2018년
|
서울의대 김경민
|
근감소증의 한국형 진단기준 확립 및 진단적 가치 검증 연구(Discovery and Verification of Korean Diagnostic Tool of Sarcopenia)
|